구글 애널리틱스 잠재고객 개요 보고서 지표를 해석하고 읽는 방법
사용자
홈페이지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만약 10명이 홈페이지를 사용하면 사용자수는 10명이다
간혹 사용자 수를 세션 수와 헷갈리는 분이 계시는데 엄연히 다르다
신규 방문자
홈페이지 사용자 중 신규 사용자 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10명의 사용자 중 홈페이지를 처음 접속하는 사람이 3명이고, 기존에 홈페이지를 접속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 7명이라면, 신규 방문자 수는 3명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경우 쿠키 기반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기에 크로스 디바이스 설정을 별도로 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한다
세션
홈페이지 방문 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한 명의 사용자가 아침, 저녁 한 번씩 홈페이지는 방문했다면 세션 수는 "2"이다
사용자 당 세션 수
사용자 당 평균 홈페이지 방문 수를 나타낸다.
한 명의 사용자가 페이지 10개를 조회했다면, 페이지 뷰 수는 10건이다
페이지 뷰 수
전체 사용자의 페이지 조회수를 나타낸다
한 명의 사용자가 페이지 10개를 봤다면, 페이지 뷰 수는 10건이다
세션 당 페이지 뷰 수
세션(방문) 당 평균 페이지 조회수를 나타낸다
한 명의 사용자가 1회 방문했을 때 10페이지를 보면 사용자 당 세션 수는 "10"이다
평균 세션 시간
사용자 방문 당 평균 홈페이지 이용 시간을 나타낸다.
사용자 2명 중 한 명이 홈페이지를 2분 사용하고 나머지 한 명이 홈페이지를 4분 사용했다면
평균 세션 시간은 3분이다
이탈률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사용자 2명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첫 화면에서 홈페이지를 떠나고,
나머지 한명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면 이탈률은 50%이다
New Visitor
기간 내 홈페이지 처음 방문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보고서 기간이 2021.10.03 ~ 2021.10.09이라면
해당 기간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New Visitor로 집계된다
Returning Visitor
기간 내 홈페이지 재 방문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보고서 기간이 2021.10.03 ~ 2021.10.09이라면
해당 기간에 두 번째 접속하는 경우 Returning Visitor로 집계된다
잠재고객 보고서 읽는 방법
사용자와 신규 방문자 관계
해당 기간 동안 총사용자가 43,549명, 신규 방문자가 38,970명이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처음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재방문자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사용자 수에서 신규 방문자 수를 뺀 값인 4,579명이 재 방문한 사용자 수가 된다.
세션과 사용자 당 세션 수 관계
해당 기간 동안 세션은 56,638이고, 사용자 당 세션 수는 1.30이다 사용자들이 홈페이지는 56,638번 방문했고, 사용자 한명 당 대략 1.30번씩 홈페이지를 방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당 세션 수가 1.30인 것을 확인한다면, 홈페이지 재 방문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 방문이란, 2회 이상 방문을 의미하며, 재 방문율이 높다면 사용자 당 세션 수가 2 이상일 것이다.
또한 사용자 수 43,549명에 사용자 당 세션 수 1.30을 곱하면 세션 수 56,638과 비슷한 수치인 56,613이 된다 거꾸로 생각하면 이와 같은 수치를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페이지 뷰 수와 세션 당 페이지 수의 관계
해당 기간동안 전체 페이지뷰 수는 288,714건이고 세션 당 페이지 뷰 수는 5.10이다 이는 사용자 들이 288,714페이지를 살펴봤고, 방문 당 5.10 페이지를 살펴봤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방문하면 평균적으로 5페이지 이상은 본다고 볼 수 있다
이탈률
해당 기간의 이탈률은 45.92%이다. 사용자의 45.92%가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간 것을 의미하며, 대략 19,997명(43,549명 * 45.92%)이 접속 후 1페이지만 보고 홈페이지를 떠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 세션 시간
해당 기간의 평균 세션 시간은 3분 29초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평균 3분 29초 동안 홈페이지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세션 당 페이지수가 5.10인 것을 참고하면, 한 페이지 당 40초를 사용한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하지만 유저 시나리오 상 도메인 별로 추측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이다. 페이지 별로 제공하는 정보가 다르거나 카테고리가 다른 경우 접근 후 페이지를 조회하는 목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이지 카테고리 별로 분석을 달리해서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 데이터 평가 및 진단
재방문 사용자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다. 로그인 사용자 중 최근 한 달 동안 방문 이력이 없는 사용자에게 재방문 이메일 혹은 카카오톡 메일로 잊히지 않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꾸준히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해야 한다(출석 이벤트, 이메일, 문자 발송 등등)
이탈률이 45.92%면 높은 편이다. 전략적으로 노출하는 페이지(랜딩페이지)가 있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잘 전달하고 있는지, 혹시 우리가 알리고 싶어 하는 정보만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봐야 한다. 여기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스크롤 이벤트 데이터, 히트맵 분석 도구를 활용한 페이지 분석 방법이 있다. 이 분석 방법을 통해 개선 포인트를 확인하고 개발자와 디자이너 분들과 논의를 거쳐, 개선 작업을 진행한다
방문한 사용자는 평균적으로 5.10페이지를 사용한다. 만약 전략적으로 발생시켜야 하는 전환이 있다면 5페이지 이내에 승부를 봐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전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디자인과 홈페이지 구성을 바꿔보는 것도 좋다
※ 참고 문헌
고객이 보이는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애널리틱스 고객센터 -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hl=ko#topic=10737980
Google analytics guide in hubspot- https://blog.hubspot.com/marketing/google-analytics
'디지털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널리틱스] 정규표현식 100% 활용하기 (0) | 2021.10.25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