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정규표현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구글 정규표현식은 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며, 구글 애널리틱스의 경우 특정 페이지/소스/매체의 데이터만 확인하려는 경우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구글 머천다이즈 사이트에서 홈페이지에서 "/home" 페이지 데이터만 조회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검색을 진행한다
여기서 내가 입력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home$) <- 이 수식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는 시작이 일치하는 경우, "$"는 종료가 일치하는 경우 이 두개를 합하면 "^$"는 시작과 종료가 일치하는 경우를 뜻한다
따라서 "/"로 시작하고, "home"으로 끝나는 페이지만 조회하는 정규식을 구성할 수 있으며, 만약 여러 페이지를 조회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home$|/store.html$|/revieworder.html) <- 이 수식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우선 "home" 페이지와 "store.html" 페이지 그리고 "revieworder.html" 페이지만 조회하는 경우 이 수식을 쓴다
이 수식 내 쓰인 정규식 추가 규칙은 다음과 같다
"|"의 경우 "or" 조건에 해당하는 정규식 규칙으로 "home or store.html or reviworder.html"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을 표로 한눈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규식 문자 | 의미 | 사용 예 | 검색 |
| | 혹은 | 참이슬 | 처음처럼 | 참이슬과 처음처럼이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 |
^ | 시작이 일치하는 경우 | ^참이슬 | 참이슬로 시작하는 데이터를검색 |
$ | 종료가 일치하는 경우 | 처음처럼$ | 처음처럼으로 끝나는 데이터를 검색 |
^$ | 시작과 종료가 일치하는 경우 | ^참이슬$ | 정확히 참이슬만 검색 |
'디지털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널리틱스] 잠재고객 보고서 활용법 (0) | 2021.10.24 |
---|
댓글